디지털 제품 사용법, 한눈에! 요약설명서 표준화 추진_산업통상자원부_정책브리핑
작성자관리자
- 등록일 25-06-24
- 조회15회
- 이름관리자
본문
디지털 제품 사용법, 한눈에!
요약설명서 표준화 추진
- 「국민 생활편의 표준화 아이디어 공모전」 수상작 3건 시상
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(원장 김대자)은「국민 생활편의 표준화 아이디어 공모전」수상작 3건을 시상하고, 수상자 및 표준전문가들과 수상작의 표준화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.
1
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제품 요약
설명서 작성 표준화
< 최우수작 >
- 스마트폰, 스마트워치, 의료기기 등 다양한 디지털 제품이 다수 등장하고 있으나, 정보 취약계층(고령층, 장애인 등)이 제품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음
- 특히, 정보 취약계층 중 고령층의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 대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
- 디지털 제품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씨 크기, 분량 및 난이도 등을 고려한 제품 요약설명서의 작성 기준에 대한 표준 제정
- 정보 취약계층이 제품의 주요 기능을 간단히 파악하여 편리하게 활용하는 데 기여
2
중고 거래 플랫폼 서비스 표준화
< 우수작 >
- 국내 중고 거래 플랫폼 시장은 꾸준히 증가하여 올해 43조 규모가 예상되며, 관련 소비자 불만 또한 늘어나고 있음
- 특히, 중고 거래 플랫폼 거래 시 발생하는 제품 품질 불량, 위조품 판매, 불법티켓(암표) 판매 등의 소비자 피해가 다수 발생 중임
- 중고 거래 플랫폼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기본 프로세스, 소비자 안전 평가 체계, 불만 처리 및 피해 예방 내용을 포함한 표준 제정
- 중고 거래 시 소비자 피해 예방과 플랫폼 신뢰성 확보를 통해 중고 거래 시장 활성화에 기여
3
요양보호 서비스
관리 기준 표준화
< 우수작 >
- 고령화 시대를 맞아 요양보호시설 및 요양보호 서비스 이용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
- 요양보호 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등 인적자원 및 내부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체계 부재로 요양보호 서비스 품질 저하 우려
- 기존 KS S 2028 “노인요양시설 서비스” 內 시설과 직원(요양보호사 등) 관리·감독 체계, 직원 교육·훈련의 방법·내용 등에 대한 사항을 구체화하는 내용으로 표준 개정
- 내부 시설·직원의 관리·감독 체계 구체화로 고객(대상자·보호자) 및 직원 만족도 제고를 통한 요양보호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
4
고령자를 위한 욕실 디자인 표준화
- 고령자 안전사고 중 흔한 원인은 “미끄러짐‧넘어짐”이며, 사고 발생 장소는 욕실이 많음
- 하체 근력과 평형 유지 기능이 약화 된 경우 작은 미끄러짐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, 욕실은 고령층에게 위협적인 환경임
- 고령자의 안전성을 고려한 욕실의 설계 및 디자인을 규정하기 위해 욕실에 대한 공공디자인 설계 가이드 표준 제정
- 고령자 욕실 “미끄러짐·넘어짐” 사고 예방 등을 통해 안전한 생활을 도모
5
국내 인체데이터 활용 휠체어 사이즈 표준화
- 휠체어 치수와 무게에 대해 다루고 있는 표준(KS P ISO 7176-5)의 팔걸이·좌석·등받이 높이 등은 국내 인체 치수에 부합하지 않아 국내 사용자 불편 발생
- 수동 휠체어 요구사항과 시험방법을 다룬 표준(KS P 6113)에 사이즈 코리아 장애인 치수 등 국내 인체 데이터를 반영하여 표준 개정
- 국내 사용자 맞춤형 휠체어 생산이 가능해져 노약자 등의 휠체어 사용 불편 해소
https://www.korea.kr/briefing/pressReleaseView.do?newsId=156694406